충청북도, ‘월동 꿀벌 피해


피해를 입은 군대의 사진

충청북도는 지난해 꿀벌 폐사 이후 올해 2월 28일까지 일본 월동꿀벌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14일 밝혔다.

조사대상은 도내 양봉을 영위하는 모든 농가를 대상으로 하며, 조사방법은 양봉장 방문 후 확정한다.

주요 조사 포인트는 벌의 소멸 및 폐사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꿀벌응애(기생충) 방제 활동 내역, 겨울 전 양봉 현황, 벌 피해 현황(사멸 및 소멸)이다.

한편 올 겨울 벌 피해에 대해 농촌진흥청은 동면의 시작인 11월이 예년보다 따뜻해 일벌들이 먹이를 찾으러 밖으로 나갔고 이 과정에서 벌집으로 돌아갈 수 없었다고 밝혔다. 벌집이나 그 수명이 단축(5개월 → 1개월)되어 피해가 중대하다고 판단됩니다.

* 11월 평균기온 : 9.6℃ (평년 대비 2.0℃↑)

* 수명단축 : 수확기(30~45일), 월동기(5~6개월)

충청북도는 피해 재발 방지와 양봉업 정상화를 위해 조사 결과를 분석해 3월 중 양봉가협회와 간담회를 가질 계획이다.

한편, 충청북도는 시·군 기술센터(신고), 도농업연구자문단(원인규명 및 기술지원), 동물위생시험센터와 협력해 위해관리팀(질병진단)을 꾸렸다. ) 꿀벌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해 지난해 12월부터 양봉 활성화를 위해 시·군과 협력해 34개 사업에 53억 원을 지원한다.

관련 기사

└ 제주도, ‘월동벌 피해’ 대책회의 개최

└ 경남 고성군, 꿀벌 유실 방지 대책 마련 중

└ 단비스쿨, 2023년 활동회원 모집…”멸종위기 꿀벌 위해 국민 뭉쳐”

└ 한화그룹, 유엔 세계 꿀벌의 날 기념 저탄소 벌집형 ‘솔라비하이브’ 출시

└ DanceWithB, ‘허니 테스트 키트’ 출시…”토종꿀은 토종벌이 살아있다는 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