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혁신도시 네스톤재단은 올 상반기 신설될 재외동포사무소와 통합된다.
인천·광주·안산 등 재외동포 유치 경쟁…제주특별자치도 미온적 대응
차세대 재외동포 교육을 담당할 재외동포교육문화원도 경기도 시흥에 있다.
지방사회 공감대 결여, 제주도와 의견 일치도 없이 혁신도시 떠남 “가십”
750만 재외동포의 거점이었던 재외동포재단이 서귀포 제주혁신도시로 이전한 지 5년 만에 직원들이 지역사회와의 협력과 상생을 떠났다.
지난해 10월 정부가 확정한 조직 개편안에 따르면 재외동포재단의 역할과 기능은 올해 상반기 신설되는 재외동포사무소로 통합·편입된다.
새로 설립된 재외동포사무소로 통합·편입되면서 직원들은 5년 만에 제주를 떠났다.
현재 인천 광주 안산 등은 재외동포 유치에 나서고 있지만 제주특별자치도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앞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로 구성된 ‘3+3정책협의회’는 재외동포재단 제주가 참석하면 공공시설을 추가로 짓고 제주도로 옮기는 방안에 대해 공동으로 협의한 바 있다.
회의는 14일에 떠나야 합니다.
done with
이는 협의사항일 뿐, 제주로 이전할 공공시설은 확정되지 않았다.
재외동포재단에 따르면 1997년 5월 19일 국어, 역사, 문화 교육 사업을 추진하고, 한민족 공동체와 조국과의 관계를 증진시켜 한국인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하고 해외 생활을 장려하기 위해 설립됐다.
재단 임직원은 78명이며, 재외동포 교류협력과 차세대 한민족 교육사업에 연간 7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앞서 제주특별자치도는 서귀포 구시청사를 재단 사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직원들의 안정적인 주거 보장을 위해 새 주택 구입 시 취득세·등록세 면제 등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그런데도 제주도와 재외동포재단은 새로 설립된 재외동포사무소를 제주로 유치하는 데 적극적이지 않다.
재외동포재단법 폐지와 함께 재외동포재단은 현재 해산 중이다.
재외동포재단은 제주로 이주한 지 5년 만에 제주를 떠났지만 도민들의 의견을 듣지도, 이해를 구하지도 않았다.
재외동포재단은 최근 재외동포사무소 설립준비(법무·예산·인사·채용 등)를 기획실과 행정실에 1명 배치했다.
옮길 물건들이 미리 쌓여가듯 직원 대표들은 이미 제주를 떠났다.
또한 재외동포재단은 제주를 떠나면서 경기도 시흥 서울대학교 캠퍼스에 재외동포교육문화원을 건립하여 차세대 재외동포의 정체성 교육 거점이 될, 글로벌 한인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지방사회와의 교류와 상생의 장벽을 쌓는 동시에
앞서 재단은 해외에 한국교육문화원을 설립하기 위해 추진단을 꾸렸으나 제주에서 운영하지 않고 경기도 시흥으로 이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재외동포재단도 서울사무소에서 중요한 업무와 협약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외동포재단 관계자는 “한인 대통령과 전 세계 지도자들은 먹고살기 바쁘지만 한국을 방문하면 일정 때문에 제주까지 가기가 어렵다.
그는 말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재외동포재단과 교류·협력이 있었다면 제주도가 재외동포의 제주 방문을 적극 지원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내용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서귀포시 서호동과 법환동 일대에 조성된 제주혁신도시(113만5000㎡) 개발사업은 2007년 2939억원을 투자해 착공해 육상교통인력개발원이 이전했다.
빠르면 2012년쯤.
9개 공공기관 중 6개 기관은 2015년 이전에 본사를 제주로 이전했지만, 재외동포재단은 늦어도 2018년까지 제주로 이전하지 않았다.
현재 서귀포시 제주혁신도시로 약 4,900명이 이주했으며, 공직자 출신의 가족과 함께 이주하는 비율은 82.4%에 이른다.
그러나 지역인재 채용률은 29.4%로 전국 10대 혁신도시 중 가장 낮다.
좌동철 기자
http://www.jej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200629
‘전국보다 비싼’ 제주 휘발유·경유 가격 감시 강화 – 제주일보
국내 최대 규모인 제주에서 담합·담합 의혹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제주도가 물가 감시로 시장 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www.jejunews.com